언어발달
-
이중언어 환경에서 아이의 언어 발달아동기 발달/언어 2025. 9. 9. 22:09
전 세계적으로 다문화 가정과 해외 거주 경험이 늘어나면서, 아이들이 두 가지 이상의 언어를 동시에 접하는 환경은 더 이상 낯설지 않습니다. 한국에서도 국제결혼 가정, 해외 파견 근무, 조기 유학, 또는 외국어 교육 열풍으로 인해 이중언어 환경에서 자라는 아이들이 꾸준히 늘고 있지요. 하지만 부모님들 사이에서는 여전히 “두 언어를 같이 배우면 말이 늦어지지 않을까?”, “아이의 정체성이 혼란스러워지지 않을까?”, “한 언어라도 제대로 못할까 봐 걱정된다”와 같은 불안이 큽니다.이 글에서는 이중언어 환경에서의 언어 발달을 둘러싼 대표적인 오해와 실제 연구 결과를 살펴보고, 가정에서 부모가 어떻게 아이를 도울 수 있는지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겠습니다. 1. 이중언어 환경이 언어 발달에 미치는 영향: 느려지는..
-
자발어를 하지 않는 아동의 언어 발달아동기 발달/언어 2025. 9. 9. 15:44
자발어를 하지 않는 아동의 언어 발달 문제 확인 기준과 언어 발달 외 요인 고찰1. 서론아동의 언어 발달은 인지, 사회성, 정서 발달과 긴밀하게 연관된 중요한 영역이다. 일반적으로 생후 12개월 전후에는 옹알이와 초기 단어가 나타나며, 24개월 전후에는 간단한 두 단어 조합 발화가 가능해진다. 그러나 일부 아동은 또래와 달리 자발어를 거의 하지 않거나 제한적으로만 사용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때 보호자나 교사는 언어 발달 장애를 의심하기도 하지만, 반드시 언어 자체의 문제만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본 글에서는 자발어가 나타나지 않는 아동을 평가할 때 고려해야 할 언어 발달상의 기준, 그리고 언어 발달 외 다른 원인들을 분석하고, 지도와 개입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2. 자발어 발달의 일반적 과정..